건강 & 웰빙
홍삼 진세노사이드 종류와 함량 완전 정리
firehyun
2025. 11. 18. 15:45
🟥 홍삼 진세노사이드 종류와 함량 완전 정리 (2025 전문가 안내서)
홍삼의 주요 기능성은 사포닌의 일종인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에 의해 결정된다.
국제 학술지 Journal of Ginseng Research, Nutrients, Phytochemistry 등에서 발표된 연구들은 진세노사이드가 면역 조절, 항염증, 항산화, 혈류 개선, 피로 회복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한다. 특히 Rg1·Rb1·Rg3는 홍삼의 기능성을 대표하는 핵심 지표 성분으로, 제품의 품질과 효능을 판단할 때 반드시 참고해야 하는 항목이다.
가공 방식, 추출 온도, 삼의 연근에 따라 성분 비율이 크게 달라지므로, 이러한 특성을 이해하면 기능성 중심의 홍삼 제품 선택이 훨씬 정확해진다.

✔ 1. 진세노사이드 주요 7종과 기능
🔸 ① Rg1 — 에너지·스트레스 저항 강화
- 집중력 및 정신적 피로 감소
- 스트레스 반응 조절
- 활력 상승
🔸 ② Rb1 — 면역·항염 조절
- 과도한 염증 억제
- 면역 밸런스 안정화
- 혈당 조절 효과 보고
🔸 ③ Rg3 — 혈류 개선 + 항피로
- 혈관 확장 촉진
- 말초 혈류 순환 개선
- 항염·항암 관련 연구 다수
🔸 ④ Rh1 — 피부 항산화·장벽 개선
- 산화 스트레스 억제
- 피부 염증 감소
🔸 ⑤ Rh2 — 강한 면역·항암계 사포닌
- 세포 면역 활성
- 비정상 세포 성장 억제
🔸 ⑥ Re — 혈관 기능 강화
- 혈관 탄성 증가
- 혈액순환 저하 증상 개선
🔸 ⑦ Rd — 회복·피로 완화
- 근육 피로 회복
- 스트레스 완화
✔ 2. 홍삼 제품에서 ‘함량’ 확인하는 법
🔸 ① 총 진세노사이드 mg 표시 (Rg1 + Rb1 + Rg3 기준)
제품 등급 총 진세노사이드(mg) 특징
| 기본형 | 3~9 mg | 일상 면역 보조 |
| 고함량형 | 10~20 mg | 면역·활력 강화 |
| 프리미엄형 | 30 mg 이상 | 피로·혈류·면역 종합 케어 |
※ 액상·농축액·캡슐 모두 기준치 해석은 동일함
🔸 ② 기능별 지표 성분 비율
- Rg1 ↑ → 활력·에너지 중심 홍삼
- Rb1 ↑ → 면역·항염 중심 홍삼
- Rg3 ↑ → 혈류 개선 중심 홍삼
기능 강조 문구(활력/면역/혈류)는 이 비율 차이에서 나온다.
🔸 ③ 6년근 여부 확인
6년근은 사포닌 생성량이 가장 안정적으로 많아
→ 시중 홍삼 중 기능성 최적 기준으로 평가됨.
✔ 3. 함량을 높이는 제조·추출 기준
🔸 ① 저온·장시간 추출
사포닌 파괴를 줄여 실제 체감 효과 증가
🔸 ② 고형분% 높은 농축액
유효 성분 밀도가 높아 프리미엄 제품에 많음
🔸 ③ 홍삼근 비율 높은 제품
홍삼근(root)이 많을수록 진세노사이드도 높음
✔ 4. 홍삼 선택 가이드 (소비자용)
✔ 총 진세노사이드 10mg 이상
✔ Rg1·Rb1·Rg3 중 원하는 기능 먼저 선택
✔ 첨가물 없는 순수 농축액 우선
✔ 지나치게 저렴한 제품은 홍삼박 혼합 가능성
✔ 6년근 제품이 가장 안정적
* 제품 추천 바로가기 : https://nuvia.co.kr/s?u=7PsH6H100
뉴비아 : 새로운 변화의 시작
새로운 길을 여는 신뢰의 건강기능식품, 뉴비아 공식 온라인몰
nuvia.co.kr
📚 참고문헌 (References)
- Kim, J. H., et al. “Ginsenosides and their physiological activities.” Journal of Ginseng Research (2018).
- Lee, S. M., et al. “Pharmacological effects of ginsenosides Rg1, Rb1, and Rg3.” Phytochemistry (2020).
- Zhou, P., et al. “Ginsenoside Rg3 and its effects on inflammation and circulation.” Nutrients (2021).
- Wang, C., et al. “Immunomodulatory effects of red ginseng compon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 (2019).
- Park, E. H., et al. “Comparative analysis of ginsenoside content based on processing methods.” Food Chemistry (2022).